관세전쟁으로 정치경제적 불확실성 확대
CPI, PPI 등 미국 인플레이션 관련 지표는 완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3월부터 미국이 주요 교역상대국과의 관세전쟁을 격화시키면서, 중국, EU, 캐나다가 잇달아 보복 관세를 도입했고 이로 인해 인플레이션 재상승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또한, 뉴욕 연준 보고서에 따르면 실업률, 연체율, 대출 상황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하는 등 향후 1년간 재정상황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여기에 미국 소비자들이 부담해야하는 신용비용이 상승하면서, 신용카드 연체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고, 소비시장은 이미 경고 신호를 보내고 있는 상황이다. 정치, 경제적 불확실성까지 더해지면서, 2025년 연준의 금리인하 속도는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정책방향을 눈 여겨 봐야할 것이다.
일본의 4Q24 GDP 성장률은 전분기대비 0.6%로 기존 추정치인 0.7%를 하회했고, 개인소비지출이 감소했으며, CAPEX가 증가했고, 수출 증가율은 전분기대비 0.7%로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다. 일본의 봄 임금협상(순토) 결과가 임금 수준을 올려 소비 모멘텀을 뒷받침할 것으로 보인다. 지속적인 기업들의 강한 투자 의지와 함께 일본 경제가 계속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만약 일본은행이 통화정책 정상화를 고수한다면 글로벌 자금 흐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국제 정치 및 경기의 혼란 속에서 투자자들은 수요가 경직적인 산업들, 저점에서 매출이 회복중인 기업들, 제품 혁신이나 기술/스펙 업그레이드가 있는 기업들에 주목해볼 수 있을 것이다. 재고조정 이후 IPC산업은 엣지 컴퓨팅 트렌드와 방산, 사이버보안, 스마트 유통 수요 증가로 수혜를 입고 있으며, IPC 벤더들의 매출 회복 재개가 기대된다. OSAT 업종 중에서는 세계적인 HPC 및 AI 어플리케이션 가속화, 대만 OSAT 리더의 팬아웃 패키징 적용으로 레이저 절단과 진공증착 공 급업체들의 수혜와 매출증가가 전망된다.
본 내용은 투자 판단의 참고 사항이며, 투자판단의 최종 책임은 본 게시물을 열람하시는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본 내용은 투자 판단의 참고 사항이며, 투자판단의 최종 책임은 본 게시물을 열람하시는 이용자에 있습니다.
본 내용은 투자 판단의 참고 사항이며, 투자판단의 최종 책임은 본 게시물을 열람하시는 이용자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