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적 지분 출회 가능성, 타이밍 불확실성이 시장 부담 요인
최근 대표이사 및 일부 임원의 지분 매도 공시 이후 주가는 13% 하락했으나, 이는 기업 펀더멘털이나 실적 전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사안이다. 김성운 대표의 매도는 수백억 원 규모의 증여세를 연부연납 방식으로 납부하기 위한 유동화 조치이며, 일부 임원진은 장기간 보유한 지분의 일부를 차익 실현한 성격이다. 이들 모두 향후 몇 년간 일정 물량의 반복적인 매도는 불가피한 구조다. 지분율은 여전히 안정적인 수준이나, 시장은 앞으로 지분이 언제 나올지 알 수 없다는 점과, 그때 주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더 걱정한 것으로 보인다.
유럽 확장·브랜드 믹스 개선, 실적 모멘텀 유효
동사에 대해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며, 목표주가는 69,000원으로 상향한다. 목표주가는 2025~2026년 평균 EPS에 목표 PER 20배를 적용해 산출하였다. 2025년 2분기 연결 영업이익은 650억 원으로, 시장 기대치(549억 원)를 18.4%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고성장 브랜드 확대와 유럽 중심의 유통 채널 확장에 따른 수익성 개선 효과가 반영된 결과다.
특히 프랑스·영국 등 유럽 시장 내 리테일 기반이 빠르게 강화되고 있으며, 하반기부터는 중동향 초도 물량 출하와 신규 시장 진입(중남미)도 본격화될 예정이다.
브랜드 믹스 또한 달바, 셀리맥스, 퓨리토서울 등 신흥 고성장 브랜드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기존의 메디큐브·닥터엘시아와 함께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다. 코스알엑스 또한 3분기부터는 협업 범위 확대를 통해 물량 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실적 측면에서 구조적 개선 흐름이 유효하게 지속되고 있고, 마진·브랜드·지역 모두에서 질적 성장이 병행되는 구간이라는 점에서, 최근의 주가 조정은 오히려 밸류에이션 부담 완화로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따라서 수급 이슈에 대한 단기적 변동성보다, 실적 기반의 펀더멘털 개선 흐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내용은 투자 판단의 참고 사항이며, 투자판단의 최종 책임은 본 게시물을 열람하시는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본 내용은 투자 판단의 참고 사항이며, 투자판단의 최종 책임은 본 게시물을 열람하시는 이용자에 있습니다.
본 내용은 투자 판단의 참고 사항이며, 투자판단의 최종 책임은 본 게시물을 열람하시는 이용자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