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한 안전성은 계속
AOS에서 발표된 VRN11 임상 추가 데이터(240mg 투약 코호트 일부 포함)에서도 Grade 2 이상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음. EGFR 관련 주요 부작용 중 하나인 설사는 이번에 1명에서 보고가 되었으나 Grade 1로 경미. 설사 부작용 발생률은 7%로 Osimertinib의 AURA Study 최저 용량인 20mg에서의 24%와 비교할 때 고무적인 결과. 이는 VRN11의 대사체가 활성이 높지 않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더욱 높은 고용량 투약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
이번 발표에서 PK 데이터도 처음으로 공개되었으며 용량 의존적인 PK 변화 확인. 투약 환자의 최저 혈중 농도인 Ctrough도 투약 용량에 비례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유효 농도 이상에서 안정적인 혈중 농도 유지 가능할 것으로 판단.
40mg 이상 투약 환자, DCR 90%
동사가 임상 전 Osimertinib 80mg과 동등한 효력 용량으로 추정한 40mg 이상에서 PR 3명, SD 6명과 PD 1명으로 ORR 30%와 DCR 90%를 기록. PD 환자는 VRN11의 억제 효과가 가장 낮은 EGFR 변이인 S768I를 가진 환자이며 투약 용량도 40mg으로 낮았던 환자. 1b 임상부터 투약 환자들의 종양 이질성은 현재 진행 중인 1a 임상보다 낮을 것으로 보이며 개선된 ORR 기대.
이번 발표에서 추가적인 PR 환자는 240mg을 투약 받았으며 이전 치료 경험이 10번으로 VRN11 임상 중 가장 다수 치료 이력 보유.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약 4주만에 43% 종양 감소 효과 확인
투자 의견 Buy, 목표 주가 24만원 유지
연내 추가적인 VRN11 임상 결과 확인 가능할 전망으로 고용량 및 확대된 환자 규모 데이터 공개 기대. VRN07(ORIC-114) 1b 임상 결과도 하반기 발표 예정으로 임상 모멘텀 다수 보유.
본 내용은 투자 판단의 참고 사항이며, 투자판단의 최종 책임은 본 게시물을 열람하시는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본 내용은 투자 판단의 참고 사항이며, 투자판단의 최종 책임은 본 게시물을 열람하시는 이용자에 있습니다.
본 내용은 투자 판단의 참고 사항이며, 투자판단의 최종 책임은 본 게시물을 열람하시는 이용자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