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소비자보호 알림마당
- 제목
- [경찰청 보도자료] 갈수록 진짜 같은 전화금융사기, 가스라이팅의 덫
- 등록일
- 2025/01/21
- 조회수
- 1557
- 상세보기
-
- 카드 배송원 사칭 전화를 넘어 실물 카드까지 전달... 미신청 카드는 무조건 가짜
- 행동 통제와 심리적 지배에 더해 각종 예방조치까지 무력화해 피해 가중
■ 전화금융사기 현황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서는 2023년 들어 주춤하던 전화금융사기 피해가 2024년 점차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어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특히, 검찰청ㆍ금융감독원 등 기관사칭형 수법은 상대적으로 보유재산이 적은 청년층에서 보유재산이
많은 장년ㆍ고령층으로 범행 대상이 변화하고, 피해자의 호기심을 유발하는 ‘카드 배송원’ 사칭 시나리오가
등장하면서 발생 건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피해액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 피해예방 수칙
본인이 신청하지 않은 카드가 발급되었다는 연락은 모두 가짜다.
실제로 카드를 신청하면 카드사는 공식 채널 및 대표번호로 배송 관련 알림톡이나 문자를 발송하며,
계약된 배송업체를 통해 카드를 배송하기 때문에 실시간 으로 배송정보 조회가 가능하다.
아울러, 카드는 본인이 받은 경우에만 자동으로 사용등록이 될 뿐, 가족이나 직장동료 등 타인이 받았으면
자동응답 시스템(ARS)이나 앱을 통해 별도로 사용등록을 해야만 활성화된다. 따라서 본인이 신청하지
않은 카드가 발급됐다는 연락을 받더라도 당황하지 말고, 112(통합신고대응센터)로 신고하면 범죄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 예방 수칙 >
① 신청하지 않은 카드에 대한 연락을 받으면 112로 신고한다.
② 공공기관ㆍ금융기관은 원격제어 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모르는 사람 에게 원격제어 앱의
접속(승인) 코드를 알려주어서는 안 된다.
③ 명의도용방지서비스(https://www.msafer.or.kr) 가입 등 개인정보 유출 방지 안내사항을 따른다.
④ 주기적으로 백신 앱을 실행하여 악성 앱을 삭제하거나 스마트폰을 초기화한다.
자세한 사기수법과 시나리오 및 예방수칙은 경찰청 보도자료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 경찰청 > 보도자료 > 2025-01-21 갈수록 진짜 같은 전화금융사기, 가스라이팅의 덫
- 이전글
- [미국주식]PTP종목 과세 안내(2025년 01월 16일 기준)2025/01/22
- 2025/01/22
- 다음글
- 명절을 노린 보이스피싱에 주의하세요!2025/01/21
- 2025/01/21